티스토리 뷰

[미국주식시장] 반도체 섹터 강세 아마존 시가총액 2위 등극

 

 

 

 

반도체 섹터의 강세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0.77%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나스닥지수는 0.27% 상승, S&P500지수는 0.15% 상승, 다우지수는 0.47%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반도체 섹터의 주요 기업들의 주가흐름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마이크론 1.62% 상승

인텔 1.42% 상승

엔비디아 3.56% 상승

램리서치 0.71% 상승

AMAT 1.25% 상승

 

마이크론은 22일에 있는 실적발표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하며 마감했으며, 인텔은 투자의견 상향으로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반도체 섹터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은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의견이 많은 편이며, 이런 부분이 주가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0.26% 상승했으며 HP엔터프라이즈는 0.32% 상승했습니다.

 

 

FAANG의 주가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페이스북 2.56% 하락

아마존 2.69% 상승

애플 0.03% 하락

넷플릭스 1.28% 상승

구글 0.39% 하락

 

페이스북은 미연방거래위원회가 조사에 착수했다는 소식과 함께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장 후반에 낙폭을 축소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아마존은 강세를 나타내며 시가총액 2위 기업으로 등극하였습니다. 구글은 약세를 나타냈으며 시가총액 2위에서 3위로 밀려났습니다.

 

FAANG의 주가흐름은 미국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것이므로 주의깊게 지켜봐야 합니다. 아마존과 넷플릭스의 강세에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오라클은 실적 부진 여파로 9.43% 하락하며 마감했습니다. GE도 실적 부진 우려감으로 3.06% 하락하며 마감했습니다.

 

 

 

여전히 FOMC 불확실성과 무역분쟁에 대한 우려감이 존재하고 있지만 미국 주식시장이 반등에 성공한 것은 긍정적입니다. 실적 기대감이 주식시장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S&P500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17%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점이 긍정적으로 반영되고 있습니다. 기업들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상향이 나타나고 있어 이런 부분들이 주가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기업의 영업이익이 금리상승보다 더 빠르게 상승한다면 주식시장은 강세장을 이어가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실적 개선이 가시화되면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해도 될 것입니다.

 

 

 

MSCI 한국지수는 1.34% 상승했으며 MSCI 신흥지수도 1.11% 상승했습니다. 미국 주식시장은 FOMC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적 기대감이 있는 반도체 섹터와 금융주가 상승을 리딩하며 반등에 성공하였습니다. 또한 국제유가 상승으로 에너지 섹터가 강세를 나타낸 점도 긍정적이었습니다.

 

MSCI 신흥지수



출처:다음 금융




우리나라 주식시장도 FOMC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지만 실적 기대감이 높은 반도체 섹터 등 영업이익이 크게 늘어나는 기업들이 상승하는 흐름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업가치에 집중하면서 실적발표일에 주목해야 할 때입니다.

 

코스피시장에 대한 이익전망이 하향 조정되면서 투자 매력도가 낮아졌던 점이 해소되는 모습입니다. 그러므로 1분기 실적발표 이후 이런 부분이 해소될 경우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전히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은 상태이지만 향후 전망이 점점 안 좋아지면서 외국인 매도세가 나타났습니다.

 

그렇지만 반도체 섹터에 대한 전망이 계속 좋아지면서 향후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이익전망이 상향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이익전망도 상향될 것입니다. 그래서 최근 외국인의 매매포지션을 보면 SK하이닉스를 강하게 매수하는 모습입니다.


SK하이닉스 외국인 매수 



출처: 다음 금융



 

 

 

반도체 섹터에 대한 기대감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 상태이고 외국인의 매수세가 집중되는 모습이므로 이 부분을 무시하지 않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특히 반도체 소재업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반도체시황이 좋은 상태이고 투자도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므로 반도체 소재업체들 중의 일부는 수요급증으로 설비증설에 나서고 있습니다. 설비증설은 기업의 외형성장으로 이어지는 호재이며 반도체시황을 감안할 때 반도체 소재업체의 성장은 2020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도체 고체소재를 생산하고 있는 기업들에 관한 관심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