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시황읽기 2018년 3월 22일] 이익전망이 상향되는 실적 기대감이 있는 기업에 집중하자

 

 

 

 

코스피지수는 0.44% 상승하며 2496.02포인트로 마감했습니다. 거래대금은 7조367억원이며 거래대금이 늘어났습니다. 투자자별 매매동향은 외국인 2,086억원 순매수 기관 821억원 순매수입니다. 삼성전자는 1.41% 상승하며 마감했으며 수급은 외국인 466억원 순매수 기관 397억원 순매수입니다. SK하이닉스는 강보합으로 마감했으며 수급은 외국인 306억원 순매수 기관 478억원 순매도입니다.

 

코스닥지수는 1.57% 하락하며 871.62포인트로 마감했습니다. 거래대금은 6조7,720억원입니다. 투자자별 매매동향은 84억원 순매도 기관 323억원 순매수입니다. 코스닥지수는 시가총액 상위의 제약바이오주의 급락으로 장 막판에 급락했습니다. 실적시즌이 다가오면서 제약바이오 차익실현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할 때입니다.

 

코스피&코스닥 지수

출처: 다음 금융



 

 

KRX 300 0.37% 상승

KRX 자동차 0.15% 상승

KRX 반도체 0.93% 하락

KRX 헬스케어 1.95% 하락

KRX 은행 1.66% 상승

KRX 에너지화학 1.14% 상승

KRX 철강 0.69% 하락

KRX 건설 1.07% 하락

KRX 증권 1.56% 상승

KRX 기계장비 0.44% 상승

KRX 보험 1.04% 상승

KRX IT소프트웨어 0.05% 하락

KRX IT하드웨어 0.34% 상승

 

 

 

삼성전자의 상승이 코스피시장의 상승을 이끌어냈습니다. 또한 FOMC 불확실성 해소로 다수의 섹터의 상승이 나온 점은 긍정적입니다.

 

하지만 코스닥시장은 급락했습니다. 장 막판에 외국인 매도세로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제약바이오주의 급락이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내일이 주말이므로 이런 흐름이 이어질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FOMC 불확실성이 해소되었고 실적시즌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익전망이 상향되고 있는 실적 기대감이 있는 기업들에 주목해야 합니다.

 

이익추정이 상향되고 목표주가 상향이 이루어진 기업들에 주목해야 할 시기입니다.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급증하는 기업이라면 더 관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실적시즌이 되면 어닝 서프라이즈나 실적점핑이 나타날 수 있는 기업들의 주식이 상승세를 나타내게 됩니다.

 

실적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되면서 주가의 상승추세가 시작될 수 있는 시기입니다. FOMC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기업실적에 주목하는 흐름이 나타날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트럼프 리스크가 여전히 존재하는 상황이므로 오히려 이 부분을 기회로 만들 수 있습니다. 정치적 리스크와 무역분쟁 우려감으로 이익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는 기업이 하락하게 된다면 분할매수해볼 수 있는 시기입니다.

 

 

 

수급 측면에서 보면 외국인 매수세에 주목해야 합니다. 외국인 매수세가 시장에서 강해지면 시장의 투자심리가 좋아질 것이므로 편안하게 투자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외국인 매수세가 시장에서 강해질 때 외국인 매수세가 있는 섹터에 주목하면 좋은 결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FOMC 불확실성 해소에도 불구하고 미국 주식시장은 방향성이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오늘 미국 주식시장 흐름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 나스닥지수와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강세를 나타낸다면 우리나라 주식시장에도 훈풍이 불 수 있습니다. 특히 마이크론 실적발표 이후 마이크론 주가흐름도 잘 지켜봐야 할 부분입니다.

 

 

 

미국 주식시장은 밸류에이션이 높아지면서 지수의 상승이 나타난 부분이 부담이 되고 있는 국면입니다. 따라서 S&P500 기업들의 실적이 예상보다 더 좋게 발표되고 실적전망도 상향되는 모습을 확인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또한 금리상승에도 불구하고 이익이 더 크게 발생하는 흐름을 확인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유동성과 밸퓨에이션 상승으로 이어진 지수의 상승이 부담이 되는 시기에 진입했기에 관망하면서 확인하려는 투자심리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낮은 밸류에이션에서도 이익전망치 하락추이로 인해 지수의 상승이 제한되었습니다. 하지만 이젠 반도체산업 전망이 상향되면서 우리나라 반도체 기업들의 실적전망도 상향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밸류에이션 매력도 높아지고 이익전망도 상향되면서 지수의 상승이 나타날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