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투자노트] 코스닥지수가 800포인트를 이탈 후 드디어 반등이 나왔습니다. 환율이 우호적인 신호를 보인 영향인 듯 합니다.하지만 반등이 곧 상승추세가 될 것이라고 보기엔 부족한 공간이 너무 많습니다.그렇지만 삼성전자의 실적발표와 컨퍼런스콜이 또 한 번 모멘텀이 된다면 상방은 열리게 될 것입니다.얼마전 SK하이닉스에 대한 부정적 뉴스 플로우가 오히려 반전 시그널이 된 것을 기억하면 될 것입니다.삼성전자의 컨퍼런스콜은 주요 뉴스 플로우입니다. 트리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환율이 하락세를 나타낼 때 중요하게 봐야 하는 것이 삼성전자의 주가흐름이기 때문입니다.외국인은 삼성전자를 집중적으로 매수할 가능성이 높고 그것은 곧 시장이 돌아선다는 시그널입니다. 시황이 개선되고 투자심리가 좋아지면 전체적으로 ..
[반도체시황]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반도체 기업에 적절한 밸류에이션 반도체 산업의 사이클 때문에 반도체 기업들은 낮은 밸류에이션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것이 적절한가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만약 현재의 밸류에이션보다 더 높은 밸류에이션을 부여할 수 있다면 목표주가는 단숨에 20% 이상 상향될 수 있기에 주의깊게 검토해야 할 주제입니다. 먼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올해 추정 EPS를 기준으로 했을 때 PER은 각각 8.02배와 4.45배입니다. 과거의 데이터와 비교해보면 현재 밸류에이션은 저점입니다. 그런데 최근에 이익 추정이 상향되고 있어 실제로 더 낮은 밸류에이션 상태라고 봐도 무방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SK하이닉스의 적절한 밸류에이션을 PER 7배라고 하면 주당기업..
[시황읽기 2018년 3월 26일] 기술적 반등 구간 경계감이 필요한 구간 코스피지수는 0.84% 상승하며 2437.08포인트로 마감했습니다. 거래대금은 5조8,564억원입니다. 투자자별 매매동향은 외국인 1,012억원 순매도, 기관 466억원 순매수입니다. 삼성전자는 1.13% 상승하며 마감했으며, 수급은 외국인 581억원 순매도 기관 89억원 순매수입니다. SK하이닉스는 1.08% 상승하며 마감했으며, 수급은 외국인 461억원 순매도 기관 88억원 순매도입니다. 코스닥지수는 2.89% 상승하며 853.69포인트로 마감했습니다. 거래대금은 6조31억원입니다. 투자자별 매매동향은 외국인 1,871억원 순매두 기관 876억원 순매수입니다. 코스피 & 코스닥 지수 현황 출처:다음 금융 KRX 300 0.97..
[미국주식시장] 반도체 섹터 강세 아마존 시가총액 2위 등극 반도체 섹터의 강세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0.77%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나스닥지수는 0.27% 상승, S&P500지수는 0.15% 상승, 다우지수는 0.47%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반도체 섹터의 주요 기업들의 주가흐름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마이크론 1.62% 상승인텔 1.42% 상승엔비디아 3.56% 상승램리서치 0.71% 상승AMAT 1.25% 상승 마이크론은 22일에 있는 실적발표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하며 마감했으며, 인텔은 투자의견 상향으로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반도체 섹터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은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의견이 많은 편이며, 이런 부분이 주가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0.26% 상승했으며 HP엔터프..
[반도체시황] 미국 반도체 섹터와 디커플링된 반도체 섹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반도체 섹터의 대표적인 글로벌 기업들도 고점 돌파 주가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인텔, 마이크론, AMAT, 램리서치 등등의 주가흐름을 보면 강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반면에 우리나라 기업들은 상대적 약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출처: Google Stock 일단 반도체 섹터에 대한 시각이 변하고 있다는 것은 긍정적입니다. 고점 논란은 어느 정도 사라진 상태입니다. 서버향 수요가 강세를 나타내면서 DRAM 가격의 상승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반도체 상승 사이클은 더 길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반도체 기업들에 대한 투자의견이 상향되고 있습니다. 생각해야 할 부분은 디..
[반도체시황] 반도체 관련 기업에 투자하려면 알고 있어야 하는 것들 두 번째 일반적으로 반도체 시황을 이야기할 때 반도체 가격, 수요와 공급 등에 대해 이야기할 수밖에 없습니다. 반도체 가격이 상승하면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의 기업의 실적이 좋아졌습니다. 그리고 반도체 가격의 상승은 수요가 늘어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공급의 제한적인 증가는 공급부족으로 나타났고 반도체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모바일 DRAM 수요가 늘어나면서 모바일 DRAM 공급은 증가하고 PC DRAM 공급량이 감소하면서 DRAM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서버향 DRAM 수요가 늘어나면서 유사한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NAND의 수요와 공급 현황 및 예측치 출처: DRAMeXchange NAND ..
- Total
- Today
- Yesterday
- 실적전망
- 가치투자
- 주식투자
- 미국
- 금융
- 반도체
- 국내주식
- 코스닥
- 성장주
- 포트폴리오
- 코스피
- 애플
- 삼전
- 미국주식
- 블로그
- IT주
- 삼성전자
- 투자
- 반도체섹터
- 전략
- 페이스북
- 반도체주
- faang
- 삼성
- 4차 산업혁명
- 시황읽기
- 주식시장
- 투자전략
- SK하이닉스
- 구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