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도체시황] 반도체 관련 기업에 투자하려면 알고 있어야 하는 것들 두 번째

 

 

 

 

 

일반적으로 반도체 시황을 이야기할 때 반도체 가격, 수요와 공급 등에 대해 이야기할 수밖에 없습니다. 반도체 가격이 상승하면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의 기업의 실적이 좋아졌습니다. 그리고 반도체 가격의 상승은 수요가 늘어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공급의 제한적인 증가는 공급부족으로 나타났고 반도체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모바일 DRAM 수요가 늘어나면서 모바일 DRAM 공급은 증가하고 PC DRAM 공급량이 감소하면서 DRAM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서버향 DRAM 수요가 늘어나면서 유사한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NAND의 수요와 공급 현황 및 예측치


출처: DRAMeXchange


 

 

NAND 쪽은 SSD의 HDD 대체로 수요가 늘어나고 있고 NAND 가격의 하락은 그 수요를 더 증가시켜 줄 것입니다. 따라서 NAND 가격의 하락은 악재가 아니라 호재가 될 가능성이 더 높아보입니다. 그리고 NAND의 수요는 다양한 곳에서 나타나고 있고 더 많은 수요가 발생할 수 있는 여지가 남아있습니다.

 

그래서 반도체시황은 급격하게 나빠질 수 없습니다. DRAM 쪽은 점진적인 수요증가와 제한적인 공급증가로 가격의 안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NAND 쪽은 가격하락이 오히려 더 많은 수요를 만들어낼 수 있어 매출이 늘어날 수 있는 구조 속에 있습니다. 정리하면 DRAM 쪽은 이익을 극해화할 수 있는 상태에 있고 NAND 쪽은 매출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입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의 기업은 이익이 감소하지 않고 양호한 현금흐름이 만들어지는 환경만 허락된다면 지속적으로 CAPEX를 지출하면서 긴 성장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새로운 수요의 등장과 등장시기와 그 규모입니다. 4차산업혁명 때문에 나타날 수 있는 수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생각보다 그 수요가 빠르게 나타나면 반도체 슈퍼사이클은 훨씬 더 오래갈 것입니다.

 

서버향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도 그 현상 중의 하나로 해석해야 합니다. 데이터 발생과 저장이 급증하고 있는 것도 그 현상 중의 하나입니다. 인공지능 스피커의 매출이 급증하고 있는 것도 그 현상 중의 하나입니다. 스마트폰이 초프리미엄폰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도 그 현상 중의 하나일 것입니다.

 

 

 

하지만 반도체 공정장비업체는 조금 다르게 볼 필요가 있습니다. 반도체시황과 많은 상관관계가 있지만 반도체시황보다 삼성전자의 CAPEX 추이가 더 중요합니다. 또한 공정수의 증가 요인도 중요하게 봐야 할 부분입니다.

 

반도체를 양산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 투자에 주목해야 합니다. 공정의 기술적 난이도가 증가하고 동일한 생산량을 위해 필요한 공정수가 늘어나게 되는 현상은 반도체 공정장비업체에게 유리한 부분입니다.

 

주의해야 할 부분은 반도체 공정장비업체의 매출절벽입니다. 반도체 공정장비에 대한 투자가 감소하는 구간에서 매출이 급감하기 때문에 영업이익은 더 급감하게 됩니다. 영업이익률의 변화가 드라마틱하게 전개될 수 있으므로 기업가치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없습니다.

 

 

 

반도체 공정장비업체에게 중요한 것은 새로운 장비에 대한 수요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입니다. 더 사양이 좋은 반도체가 필요하게 되면 새로운 장비에 대한 투자가 집행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공정의 수가 늘어나게 되면 필요한 장비의 수가 늘어나게 되므로 공정장비업체에겐 호재입니다.

 

최근 동향을 보면 식각공정과 증착공정의 수가 늘어나고 있으므로 식각공정과 증착공정 장비업체에 투자하는 것이 더 유리할 것입니다.

 

반도체 공정장비업체 투자에서 주의해야 할 부분은 새로운 기술의 도입으로 공정의 수가 감소하게 되거나 반도체 투자가 감소할 때입니다. 그래서 반도체시황도 잘 지켜봐야 하지만 새로운 기술의 동향도 잘 지켜봐야 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제일 중요한 부분인 반도체 공정부품이나 소재에 관해 살펴보려 합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