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시황] 메모리 반도체 2월 출하량 최근 통계자료에 의하면 메모리 반도체의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유심히 봐야 할 부분은 출하량의 증가입니다. DRAM과 NAND의 ASP 상승이 둔화되고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메모리 반도체 시장규모가 성장했다는 것은 의미하는 바가 큽니다. DRAM은 ASP가 전월대비 보합권을 유지했지만 출하량 증가로 시장규모는 77억달러로 전뤌대비 9.4%, 전년대비 60.4%의 높은 증가세를 시현했습니다. NAND는 ASP가 전월대비 10% 하락했지만 출하증가율은 전년대비 41%로 상승했습니다. 이것은 11개월래 가장 높은 출하증가율이며 NAND의 가격하락이 물량증가로 이어지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증가율 모멘텀이 둔화되고 있는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1.30% 상승 미중 무역분쟁은 진행 중 지난 3 일(화) 미국 무역대표부가 대 중국 관세 부과 품목 1,300 개 발표하자 4 일(수) 중국 국무원은 미국산 대두, 자동차, 항공기 등 106 개 품목에 대해 관세 부과 발표하는 등 미-중 무역분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편, 중국 국무원은 “미국과 중국 모두 관련 품목 발표 했기에 이제는 협상과 협력을 해야 한다” 라고 주장 하는 등 협상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이러한 중국의 대응에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중국은 무역전쟁 상태가 아니다” 라고 언급하며 한발 빼는 모습입니다. 그러면서도 “중국의 지적 재산권 도둑질 규모가 연간 3 천억 달러 수준이며, 이를 그대로 놔둘 수 없다” 라고 주장하는 등 여전히 대 ..
[오늘장 뷰 2018년 3월 23일] 미중 무역전쟁 이슈 부각 투자전략 주식시장의 조정을 불러올 수 있는 트럼프 리스크에 대해 이야기한 것이 오래되지 않아 미중 무역전쟁 이슈로 인해 미국 주식시장이 폭락랬습니다. 다우지수는 3%에 가까운 하락을 보였습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와 나스닥지수도 큰 폭의 하락을 나타냈습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도 갭하락으로 출발할 것으로 보이며 미중 무역전쟁과 연관된 섹터 중에 급락이 나타나는 섹터가 있을 수 있기에 주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전일에 나타난 장 막판의 제약바이오의 급락도 주의해야 할 부분입니다. 이로 인해 코스닥지수가 급락했습니다. 투자심리 악화가 더 심해지면서 제약바이오의 급락이 오늘도 이어질 경우 코스닥지수는 상상 이상의 폭락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
- Total
- Today
- Yesterday
- 반도체주
- 4차 산업혁명
- 가치투자
- 주식시장
- SK하이닉스
- 삼전
- 실적전망
- 애플
- 삼성
- 국내주식
- 반도체섹터
- 블로그
- 코스피
- 주식투자
- 전략
- IT주
- 미국주식
- 금융
- 미국
- 투자전략
- 포트폴리오
- 투자
- faang
- 구글
- 삼성전자
- 반도체
- 시황읽기
- 페이스북
- 성장주
- 코스닥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