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시황] FAANG 그리고 메모리 반도체의 미래 지금까지 반도체 사이클은 변동성이 꽤 큰 편이었으며, 수요급증과 공급과잉을 반복해왔습니다. 그래서 반도체 칩 메이커 기업들에 투자할 때에는 고 PER 상태에서 매수하고 저 PER 상태에서 매도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즉 공급과잉이 발생하고 수익성이 악화되어 고 PER 상태가 되었을 때가 최적의 투자 타이밍이었던 것입니다.반도체 다운사이클이 마무리되고 업사이클이 시작되는 시점이 투자하기에 좋은 시기입니다.마찬가지로 수익성이 PEAK를 보여줄 때가 매도하기에 최적의 타이밍이었습니다. 즉 저 PER 상태인 셈이지요. 반도체 산업은 PC와 스마트 디바이스의 성장과 더불어 함께 성장해왔으며 시클리컬한 특성을 보여주었습니다.마이크로소프트의 새로운 OS가 성공적..
P.S 최근 몇가지를 테스트 해보느라 글을 포스팅 하지 못했네요... 앞으론 더 열심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도체 시황] 마이크론과 관련된 주요 뉴스 플로우 두 가지만 알고 가자 오늘은 마이크론과 관련된 뉴스 플로우 두 가지만 살펴보려고 합니다. 하나는 마이크론에게 악재인 내용이며 나머지 하나는 호재인 내용입니다. 먼저 악재는 올해 2분기 생산량에 감소를 가져올 수 있는 이야기이고, 나머지 호재는 모건스탠리가 메모리 반도체의 서버향 수요에 주목했다는 이야기입니다. 마이크론은 지난 3월말 4월초 쯤에 대만 공장에서 질소공급장치의 고장으로 생산량 손실을 경험해야 했습니다. 1주일 정도 가동 중단을 해야만 했는데 이 과정에서 웨이퍼 기준으로 4만장 정도의 생산량 감소가 나타난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평..
- Total
- Today
- Yesterday
- 미국주식
- 투자
- 주식투자
- 실적전망
- 포트폴리오
- 삼성전자
- 주식시장
- 반도체
- 블로그
- 투자전략
- 반도체섹터
- 반도체주
- 코스피
- 국내주식
- 삼전
- 애플
- 코스닥
- 4차 산업혁명
- SK하이닉스
- 삼성
- 가치투자
- 구글
- 금융
- 미국
- 시황읽기
- 페이스북
- 성장주
- 전략
- faang
- IT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